안녕하세요 테킷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2주간 쉬었던 목공 학원이 열어 다시 수업에 참여하게 되었는데요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공구함의 사개맞춤 부분을 목공용 본드를 발라 고정시킨 후
스테인 칠을 통해 마무리 하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목공 공구함 마무리 작업을 어떤 순서로 해야하는지 자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
작업 요약
▶ 총 작업 소요 시간 : 약 7 시간
▶ 작업 난이도 : 어렵지 않음
▶ 중요 포인트 : 건조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
#STEP 1. 본드 작업
사개장을 만든 부분에 본드를 발라 목재끼리 결합하는 작업인데요
저는 목공용 접착제 중 오공본드 205를 사용해서 결합 작업을 했습니다!
오공본드 205의 경우 하얀색 본드(White Bond)로 노란색 본드(Yellow Bond)보다
마르는 시간이 길어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드입니다
(*노란색 본드는 5~10분이면 굳기 시작하고 30분~1시간만 고정하면 됨)
본드는 아래 오른쪽 사진처럼 안쓰는 목재에 덜어서 사용하면 바를 때 편리합니다!
이제 실제로 결합이 필요한 목재 부분에 본드를 발라볼텐데요
마구리 면(목재의 단면)의 경우는 본드를 발라도 목재가 본드를 모두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사개맞춤으로 파진 옆면에 본드 작업을 해주시면 됩니다 :)
물론 마구리 면에도 본드를 발라도 전혀 무방합니다 ㅎㅎㅎㅎㅎㅎ;;
#STEP 2. 고정 작업(클램프/조임쇠)
다음은 본드 칠을 한 목재를 클램프/조임쇠를 사용해 고정하는 작업입니다!
클램프/조임쇠 로 꽉 조여 목재가 단단히 붙을 수 있도록 해주면 되는데요
목재를 고정시킬 때 하나의 팁을 드리자면
클램프/조임쇠의 조이는 힘 때문에 작업하는 목재가 파이거나 자국이 남는 경우가 생기는데요
이런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안쓰는 목재를 덧대 그 위로 클램프/조임쇠를 물려주시면 됩니다!
#STEP 3. 빈틈 메우기
수공구인 톱과 끌을 사용해서 사개맞춤을 만들었기 때문에 아무래도 미세한 틈이 꽤 많이 있습니다 ㅎㅎㅎ;;
가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틈을 메워줘야 합니다!
메우는 방법에는 2가지 방법이 있어요
1. 목공용 본드에 톱밥 가루를 뿌린 후 섞어 톱밥풀(?)을 만들어 틈을 메운다 (제가 사용한 방법!)
2. 톱밥 가루를 먼저 틈에 뿌린 후 순간 접착제를 떨어뜨려 틈을 메운다
(*순간 접착제가 빨리 마르기 때문에 바로바로 닦기+사포질 작업 필수)
#STEP 4. 대패질 하기
메우기 작업을 끝냈다면 샌딩 작업으로 넘어가기 전! 대패 작업을 먼저 해주셔야 합니다
결합 부위에 높낮이 차이가 생기게 되는데 이 부분을 대패로 평평하게 만들어 주는 작업입니다!
아래 왼쪽 사진에서 결합부위 높낮이 차이가 보이시나요?
이 부분을 대패로 슥슥해(ㅎㅎ) 아래 오른쪽 사진처럼 어느정도 평평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STEP 5. 샌딩 작업
스테인 칠을 하기 전 마지막 단계인 샌딩 작업입니다!
사포로 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
샌딩기를 사용해서 공구함의 겉면을 평평하고 매끄럽게 만들어 줍니다!
샌딩기는 처음 사용해 봤는데 생각보다 무거워서 한 번 놀랬고
샌딩하고자 하는 목재를 고정시키지 않으면 꽤 많이 흔들려 한 번 또 놀랬습니다 (쫄보 아님!)
#STEP 6. 도장 작업(스테인(stain))
드디어 공구함 만들기의 마지막 단계인 도장 작업입니다!
제가 작업한 순서를 먼저 살펴보면..... 아래의 순서로 도장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1차 도장 → #220 사포 → 2차 도장 → #400 사포 → 3차 도장 → #600 사포(선택 사항)]
그리고 저는 수성 스테인을 사용해서 도장 작업을 했는데요
수성과 유성의 차이를 간단히 살펴보고 갈게요! (스테인이나 바니쉬 모두 해당됩니다!)
구분 | 수성 | 유성 |
특징 | 도포형 (목재 위로 도포되는 형식) | 침투형 (목재에 스며드는 형식) |
코팅 처리로 외부 자극에 강함 | 목재의 결을 잘 살림 | |
칠을 여러번 할수록 두꺼워짐 | 수성에 비해서는 두꺼워지는 현상 적음 |
그리고 스테인 작업 시 저는 장갑을 끼고 손으로 직접 펴 발랐는데요
비닐 장갑을 먼저 끼고 그 위에 목장갑을 껴 스테인을 조금씩 묻혀 작업했습니다!
(스펀지 붓을 사용해서 발라도 돼요!!)
이렇게 공구함을 총 2회차에 걸쳐 완성하게 되었는데요!
사개맞춤을 배워 직접 적용해 본 첫 번째 소가구라서 더욱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
여러분도 기회가 되신다면 한 번 만들어 보시길 권해드리며!
위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상 테킷이었습니다 :)
'가구제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 가구제작 기능사 시험 일정(필기/실기), 접수 방법, 시험 과목 상세, 시험 대비 책 정보까지 총 정리! (0) | 2022.03.07 |
---|---|
[소가구] 실내 인테리어 추천! 현관/화장실 옆 낮은 선반 직접 만들기 (주먹장+연귀 맞춤 활용) (0) | 2020.05.28 |
[소가구] 연귀맞춤을 활용한 목재 트레이 만들기! (스텝별 상세 과정 소개) (0) | 2020.04.21 |
[소가구] 초보자도 쉽게 할 수 있는 목재 핸드폰 거치대 만들기! (0) | 2020.03.27 |
[소가구] 초보자도 가능한 사개맞춤으로 목공 공구함 만들기! (0) | 2020.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