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테킷입니다 :)
이번 가구제작 입문 과정 2번째 수업에서 끌에 대해 배우며
끌 날을 연마하기 위해 숫돌을 처음 보고 실제로 사용해 보았는데요
숫돌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그 특징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또 직접 끌 날을 연마한 경험을 토대로 끌 연마법까지 함께 알아볼게요 :)
#숫돌의 종류(1) - 건식, 습식 숫돌
숫돌을 구분하는 방법 중 하나는 건식과 습식 구분입니다.
건식과 습식이라는 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이 둘은 물의 사용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데요
▶건식 숫돌 : 물 없이 사용하는 숫돌
▶습식 숫돌 : 물과 함께 사용하는 숫돌
건식 숫돌에는 대표적으로 다이아몬드 숫돌이 있는데 다이아몬드 입자로 코팅해 날을 연마할 수 있는 숫돌이고,
습식 숫돌은 벽돌처럼 생긴 형태로 물을 뿌려 사용하는 숫돌입니다.
#숫돌의 종류(2) - 초벌(거친), 중간, 마무리 숫돌
숫돌에는 표면의 거친 정도에 따라 번호(방)가 매겨져 있는데
번호가 낮을수록 표면이 거칠어 초벌 연마에 사용되고 높을수록 마무리 작업에 사용됩니다.
▶초벌 숫돌 : 600방까지의 입도를 가진 숫돌
숫돌의 입자가 거칠어 새 날물의 면잡기, 날이 크게 손상되었을 때, 낫이나 도끼류 등을 갈 때 사용
▶중간 숫돌 : 800방-2000방까지의 입도를 가진 숫돌
날을 세울 때 사용하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
▶마무리 숫돌 : 3000방 이상의 입도를 가진 숫돌
숫돌의 입자가 고와 날 연마 마무리 단계로 사용
현재 마무리 숫돌의 경우 30000방 숫돌도 나와 있다고 하는데
30000방이라니...얼마나 곱게 연마가 될지 한번쯤은 써보고 싶네요 ㅋㅋㅋ
목공에서는 400, 800, 1000, 4000, 6000방 숫돌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숫돌의 사용법(끌 연마법)
숫돌을 사용하는 방법을 가구제작 입문 과정에서 실습한 내용을 토대로 STEP 별로 나누어서 설명해드리려고 해요!
STEP 1. 준비물 챙기기 및 숫돌 물에 담그기
숫돌을 사용한 날 연마 작업에 필요한 숫돌, 숫돌 받침대, 트레이, 양동이에 담은 물(숫돌 공기 빼기용), 페트병에 담은 물(물 뿌리기용), 연마 작업 중 날을 닦을 수건을 준비해주세요!
그리고 숫돌 사용전에 숫돌이 잠길 정도로 받은 물에 숫돌을 넣어 숫돌에 있는 공기를 빼주셔야 합니다!
STEP 2. 숫돌 평 잡기
숫돌을 사용하기 전 사포를 이용해 숫돌 표면 수평을 맞춰주는 작업입니다.
수평이 제대로 잡힌 유리판 또는 기계에 사포를 올리고 숫돌 표면이 갈려나가 수평이 될 수 있도록 사포질을 해줍니다.
STEP 3. 중간 숫돌 작업
날이 많이 상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초벌 숫돌 사용은 하지 않고 바로 중간 숫돌로 날 연마를 시작합니다.
아래 사진처럼 숫돌에 물을 충분히 적신 후 주로 사용하는 손의 엄지와 검지로 날 부분을 쥐고 다른 손의 엄지로는 날끝 부분을 눌러 숫돌에 연마 작업을 하는 동안 흔들리지 않도록 잡아줍니다.
+ 숫돌이 한쪽만 깎여 나가지 않도록 숫돌을 돌려가며 사용해야 하고, 중간 중간 다른 숫돌과 비벼 평을 맞춰줍니다!
STEP 4. 마무리 숫돌 작업
중간 숫돌 작업 후 마무리 숫돌을 사용해 날을 더 곱게 만들어 줍니다! 아주 맨들맨들 장난아니에요ㅋㅋㅋㅋㅋㅋ
숫돌을 처음 사용하시는 분들(=테킷 ^^)은 사용법이 익숙치 않아 팔과 손이 많이 아프겠지만....
날물을 사용하는데 있어 숫돌 연마는 꼭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상 테킷이었습니다 :)
'목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공] 수공구를 사용한 사개맞춤(사개장) 만들기 완전 정복! (0) | 2020.02.19 |
---|---|
[목공] 대패(plane) - 목공용 대패 종류, 특징, 사용법 총 정리! (0) | 2020.02.14 |
[목공] 끌(chisel) - 목공용 끌의 종류와 특징 총정리 (0) | 2020.02.10 |
[목공] 톱(SAW) - 켜기와 자르기, 목공톱의 종류 및 특징 (0) | 2020.02.05 |
[목공] Open MUJI 오픈무지, 나 혼자 만든다 : 목공구의 기초 (0) | 2019.01.01 |